본문 바로가기
[IGM 버츄얼캠퍼스 OPEN] 온라인으로 좀 더 쉽고 재미있게 공부할 방법 없을까?

IGM 인사이트

이미지 목록

  • 81
    [시금치] 빌 게이츠가 말한 하버드 졸업장 보다 더 소…
    독서광으로 알려진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도 2010년부터 자신의 블로그, '게이츠 노트'에 한 해 동안 자신이 읽은 책 중 좋은 책들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빌 게이츠는 '오늘의 나를 있게 한 것은 우리 마을 도서관이었다. 하버드 졸업장 보다 소중한 것은 독서하는 습관이다'라며 책읽기의 중요성을 강조했죠.  빌 게이츠의 추천 도서 목록을 보면 신간부터 고전까지 다양합니다. 또 경제경영서 뿐만 아니라 소설ㆍ과학ㆍ역사 등 장르도 여러가지이죠. 이는 주제나 분야를 가리지 않는 '다독 습관'에서 비롯된 것인데요. 빌 게이츠는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책으로 경제경영서가 아닌, 공상과학소설과 자서전을 꼽았습니다. 편식하지 않는 독서 습관은 신문이나 잡지를 읽을 때도 발휘되는데요. 빌 게이츠는 신문과 잡지를 처음부터 끝까지 빼놓지 않고 읽습니다. 과학면이나 경제면 등 관심있는 기사만 읽는다면 신문을 읽기 전이나 후의 자신이 조금도 달라진 점이 없을 거라고 말했죠. 빌 게이츠가 말하는 책 내용을 내 것으로 만드는 방법 (출처: Quartz) 한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CEO들이 읽는 책의 65%가 경제경영서라고 합니다. 시금치 독자님들의 책장에는 어떤 책들이 꽂혀 있나요? 잠깐 짬을 내어 소장하고 있는 책을 분야 별로 분류해 보세요. 자신이 어떤 분야를 잘 알고 모르는지 한 눈에 파악하실 수 있을 거예요. 어떤 책부터 읽어야 할지 막막하다면, 다음 추천도서 목록에서 가장 눈에 띄는 책 한 권 Pick!해보세요. 책 속에 담긴 무한한 상상력과 가능성이 여러분의 것이 되어줄 겁니다. ㆍ아마존 선정 일생에 읽어야 할 100권의 책 ㆍ서울대 선정 필독서 100권 ㆍ빌 게이츠 선정 2021년 올해의 책
    작성자 작성일 01-26 조회 6365
  • 80
    [시금치] 미래의 우리는 어떤 차를 타고 출근할까요?
    지난 주 금요일부터 지구 반대편에서 'LA 오토쇼'가 열리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완성차 기업들은 물론, 신생 스타트업들까지 참여해 미래 모빌리티 트렌드와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혹시 보신 분 있나요?! 미래형 모빌리티 핵심은 역시, 친환경과 맞닿은 '전기차'와 '자율주행'인데요. 예컨대, LA오토쇼에서 현대차는 콘셉트카 '세븐'을 최초로 공개하면서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비전을 보여줬습니다. 운전석에서 운전대는 아예 사라지고요. 평소엔 숨어 있다가 위로 올라오는 전자변속기 '컨트롤 스틱'이 탑재돼 있어요. 또 차량 내부를 거실처럼 변신시킬 수 있습니다. 자동차 천장에 있는 큰 디스플레이로 영화를 감상하거나 의자 시트를 자유자재로 돌려 얼굴을 마주보며 대화도 나눌 수 있죠.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에 따르면, 자율주행은 기술 수준에 따라서 0~5단계로 나눠져 있습니다. 현재 상용화된 자율주행 기술은 2.5단계 수준이지만, LA 오토쇼에서 보여주듯이 모빌리티는 운전자 개입이 필요 없는 '4~5단계 자율주행'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죠. 0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Driver Feet off Hands off Eyes off Minds off Passenger 비자동화 운전자 지원 부분 자율주행 조건부 자율주행 고도 자율주행 완전 자율주행 운전자가 직접 운전 시스템이 방향, 속도 제어하면서 운전 보조 시스템이 차선과 차량 간격 유지 시스템이 교통상황 파악해 운전 시스템이 정해진 도로에서 직접 운전 시스템이 모든 도로 환경에서 직접 운전 완전 자율주행이 되면 모빌리티는 단순 이동수단을 넘어 움직이는 생활공간이 될 텐데요. 공간 자체에서 느끼는 특별한 경험이 또 하나의 큰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이미 전통 제조업은 물론, 구글ㆍ애플 등 IT 기업, 통신서비스업, 스타트업 등 많은 기업들이 모빌리티 플랫폼 시장에 뛰어들면서, 모든 비즈니스가 연결되어 거대한 생태계를 만들고 있습니다. 앞으로 콘텐츠, 게임, 미니 냉장고, 신발 수납함, 하늘길 이동수단 연계 등 생각지도 못한 서비스들이 기술과 어우러져 새로운 시장이 무궁무진하게 펼쳐질 것입니다. 모빌리티 산업이 우리 삶과 생태계를 뒤흔드는 가운데, 우리 비즈니스는 어떤 기회를 발견할 수 있을까요? <IGM 회원가입> 하거나 <뉴스레터 신청>하시면 매주 금요일, IGM 지식코치 '시금치(Creative Leader를 위한 금요일의 지식코치)를 메일함으로 보내드립니다. https://igm.or.kr/edu_inq/news_lt.php  --------------------------------------------------------------------------------- [시금치 받은 원우분들의 후기들 보고 가시죠~:)] 
    작성자 작성일 01-21 조회 3799
  • 79
    [시금치] 이 세상 단 하나뿐인 “찐”을 가려주는 이것…
    올해 3월, 만질 수도 없는 JPEG 파일 하나가 무려 790억 원에 거래가 됐습니다. 이 이미지는 디지털 화가 비플이 5,000개의 이미지들을 콜라주해 만든 NFT 작품인데요.(크게 보기 클릭!) NFT 경매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 외에도, 故스티브 잡스의 입사지원서가 4억 원에 거래되고, 트위터 창업자인 잭 도시의 첫 트윗글이 32억 원으로 거래되는 등… NFT 인기가 나날이 뜨거워지는데요. 요즘 화두인 NFT, 대체 뭘까요?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인데요. 쉽게 말해서 어떤 것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디지털 정품 인증서’입니다. 복사-붙여넣기가 자유로운 디지털 세상에서는 원본을 가리기 어려웠는데요. NFT를 활용하면 원본임을 증명하는 소유권과 거래내역이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고, 구매자는 그 내역을 추적할 수 있어서 디지털에서도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거죠. 이 특징 덕분에 브랜드는 디지털 세상에서 고객에게 진품을 더 쉽게 증명할 수 있고, 세상에서 단 하나뿐이라는 희소한 가치를 줄 수 있는 것입니다.  예술과 게임 산업은 물론, 패션, 유통, 스포츠 등 많은 산업들은 NFT를 디지털 세상에서 고객을 만나기 위한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아직 NFT의 세금이나 규제 등 해결할 문제들이 남아있고, 시장이 과열됐다는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예컨대, 음식 프랜차이즈 타코벨은 업계 최초로 타코 이미지와 영상을 NFT로 판매해 30분 만에 매진 시켰고요. 명품 시계 브랜드 제이콥앤코는 시계를 15초 짜리 NFT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었는데, 실물 시계가 아닌데도 초고가로 팔렸습니다.  특히 메타버스 세상이 점점 확장되면서 NFT 시장도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가상세계 속 유저들은 NFT 아이템이나 부동산 등을 수집용으로 구매하기도 하지만 투자를 위한 가상자산으로도 활용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면, 디센트럴랜드의 유저들은 NFT로 발행된 땅을 사고 팔면서 아이템과 콘텐츠로 자신만의 공간을 꾸미고 있습니다. 이미 메타버스와 현실을 넘나들며 살고 있는 우리… 아래 이미지 클릭하셔서 성큼 다가온 NFT 트렌드를 직접 느껴 보세요! <IGM 회원가입> 하거나 <뉴스레터 신청>하시면 매주 금요일, IGM 지식코치 '시금치(Creative Leader를 위한 금요일의 지식코치)를 메일함으로 보내드립니다. https://igm.or.kr/edu_inq/news_lt.php  --------------------------------------------------------------------------------- [시금치 받은 원우분들의 후기들 보고 가시죠~:)]  
    작성자 작성일 01-14 조회 4127
  • 78
    [ IGM Prism 6호 ] 이미 다가온 일의 미래,…
    일하는 방식의 대전환, ‘하이브리드 워크’의 진정한 의미하이브리드hybrid가 서로 다른 것의 결합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듯이, ‘하이브리드 워크’란 시간과 공간이라는 두 가지 요소에 대해 제약 없이 자유롭게 선택하여 탄력적으로 일하는 것을 말한다. 업무 시간이 동일하게 정해져 있고 일하는 공간을 선택할 수 있으면 ‘원격 근무’이다. 반대로, 사무실 근무가 원칙이되 업무 시간을 탄력적으로 쓰는 것을 ‘유연 근무’라고 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하이브리드 워크는 원격 근무와 유연 근무의 장점을 모두 합쳤다고 생각하면 쉽다.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집, 사무실 혹은 제3의 장소)에서 일하는 것이다. ​  Covid-19로 인해 2020년 많은 기업들은 미처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재택근무를 도입해야만 했다. 하지만 우려했던 것만큼 생산성 저하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고 특히 밀레니얼과 Z세대는 디지털 기술을 통한 비대면 업무 환경에 재빨리 적응했다. 2021년, 전 세계적으로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며 (오미크론 확산 전) 기업들이 다시 사무실 복귀 계획을 검토하자 이에 반발하는 분위기도 생겨났다. 직원들이 지난 2년간의 재택근무를 경험한 후, 이후의 삶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면서 기업은 이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조사기관 Edelman Data x Intelligence가 2021년 1월, 31개 시장에 걸쳐 정규직 또는 자영업자 3만10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The Work Trend Index survey” 결과를 보면, 직원들이 두 가지 욕구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즉, 직원들은 언제 어디서 일할지에 대한 유연성을 기대하며, 팬데믹 이전과 같이 100% 사무실 근무 방식으로 돌아가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러면서도, 협업 등에 있어서는 팀을 직접 대면하며 일하고 싶어한다. 이에, 기업 입장에서는 최고의 인재를 유지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워크 모델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비즈니스 의사 결정권자의 66%는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물리적 공간을 재설계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하지만, 물리적 공간의 재설계나 제도 도입 전, 하이브리드 워크의 속성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글로벌 통신장비 기업 CISCO는 효과적인 하이브리드 워크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유연함하이브리드 워크 모델에서는 직원들이 여러 국가와 시간대에 걸쳐 분산 근무가 가능하다. 이들은 서로 다른 일하는 스타일, 역할, 그리고 기기에 적응할 수 있는 유연한 도구를 필요로 한다. 하이브리드 워크는 전반적으로 조직의 유연성을 제공하여 비즈니스 민첩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포괄적하이브리드 워크는 포괄적이어야 한다. 이것은 기업이 모든 직원이 동등한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뜻이다. 모든 이가 온전히 참여할 수 있고, 똑같이 보고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때 하이브리드 워크의 효과가 높아진다.◆지지적하이브리드 워크 비전을 지지하려면, 기업은 조직의 모든 수준에서 지원적 사고방식을 촉진해야 한다. 이것은 직원들이 일하는 방식에 있어서 편안함, 심리적 안정감, 안전함을 느끼며, 회사로부터 지원과 포용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도록 할 것이다. 기업은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보다 지능적인 네트워크와 작업 공간을 구축하는 데 투자해야 한다.◆보안성하이브리드 워크의 성공은 안정적이고 안전한 연결에 달려 있다. 이것은 모든 팀 구성원이 원하는 장소에서 안심하고 작업하며 협업할 수 있도록 한다. 기업은 쉽게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고 캠퍼스, 지사, 가정 및 마이크로 오피스 환경을 포함한 모든 업무 공간에 보안 정책을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IT 관리성 하이브리드 워크 모델은 복잡하고 역동적이므로 다른 IT 관리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 사용자 및 기기를 규모에 맞게 손쉽게 대비   - 강력하고 관련성이 높은 분석 액세스   - 최종 사용자, 기기, 애플리케이션 및 환경의 보안 및 문제 해결   - 단일 창에서 관리가 가능한 솔루션을 통해 협업하이브리드 워크의 함정을 피하는 3가지 질문하이브리드 워크는 직원들의 상반된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쉬운 해결책으로 보일 수도 있다. 사무실 공간을 유지하면서, 또한 현장 근무를 선호하는 직원과 원격 근무를 선호하는 직원 모두를 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음의 3가지 질문에 대한 인식이 없을 경우, 잘못된 함정에 빠질 수도 있다.1.경영진/리더가 일하는 장소는 어디인가?하이브리드 워크 모델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데 있어 큰 부분은 리더십 팀이 어디에서 시간을 보내는지에 달려 있다. 만약 리더들이 주로 사무실에서 일한다면, 다른 사람들도 사무실에서 일하려고 할 것이다. 이런 상황은 ‘사무실 우선’ 문화를 만들 수 있다. 리더들이 주로 사무실에 있는 불균형한 문화는 불평등한 인정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사무실에서 리더들과 함께 일하는 것을 선택하는 직원들은 더욱 눈에 띄게 될 것이고, 그들의 일에 더 많은 관심을 끌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상황은 궁극적으로 원격으로 일하는 직원들이 배제되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이 같은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경영층은 기본적으로 원격으로 일한다는 방침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경영층은 사무실 에 배치하지 않으며, 한 달에 몇 번 이상은 사무실에 나오지 않을 것’을 명시하는 것도 방법이다.2.누가 승진하고 인정받는지를 인식하는가?하이브리드 워크 모델에서 가장 위험한 문제는, 성과 평가와 보상에 있어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Gartner에 따르면, 관리자의 64%는 사무실 근무자가 원격 근무자보다 더 높은 성과를 낸다고 판단해 더 높은 급여 인상을 제공하려고 한다. 하지만 같은 조사에서 사무실 근무자보다 원격 근무자가 더 좋은 성과를 낼 가능성이 5% 높았다.이 같은 문제를 완화시키려면, 성과 평가에 있어 원격 근무자에 대한 편견을 가려내도록 관리자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직원들이 회사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여 좋은 인재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직원들의 말에 민감하게 귀 기울이는 것도 중요하다. 1:1 대화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설문 조사 등을 통해 지속적 으로 피드백을 구해야 한다.3.일관된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가하이브리드 워크 모델의 또 다른 문제는 원격 근무자를 2등 시민으로 만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직접적인 대면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우선하는 지침을 만들어서 원격 근무자와 사무실 근무자에게 동일한 경험을 제공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가령, 회의나 행사를 계획할 때는 원격 근무자를 우선으로 두어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을 회의실에 모이게 하고 나머지는 스크린을 통해 참여시키는 것이 아닌, 모든 사람들이 온라인 미팅으로 참여함으로써 같은 경험을 해야 한다. 이렇게 할 때, 원격 근무자들이 의견을 내거나 참여하는데 있어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또한, 대부분의 커뮤니케이션을 온라인으로 이동시켜야 원격 근무자 들이 회사의 중요 결정사항을 놓치지 않고 따라갈 수 있다. 한 마디로, 모든 직원이 동일한 정보를 적시에, 그리고 동시에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각자, 또 함께” 한 팀으로 일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워크의 설계하이브리드 워크의 핵심은 언제, 어디서 일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유연성에 있지만, 동시에 같은 목표를 공유하고 긴밀하게 협력하는 한 팀이라는 전제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 이를 통해 하이브리드 워크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각 조직의 상황에 맞는 기본적인 규칙을 도출해야 한다.MIT Sloan 경영대학원 기업경영연구실은 생활용품 기업 P&G의 면도기 브랜드 Gillette와 함께 ‘하이브리드 워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다른 조직에서도 상황에 맞춰 적용이 가능하므로 간단히 소개한다.인식의 전환부터 시작마이크로소프트 CEO 사티아 나델라 Satya Nadella는 이렇게 말했다.“지난 1년 동안, 일하는 방식만큼 더 급격한 전환을 겪은 분야는 없다. 직원들의 기대치가 변화하고 있고, 우리는 생산성을 더 폭넓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현장 및 지식 근로자를 포함한 전 직원의 경력 향상을 위한 협업, 학습, 그리고 웰빙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은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일하는지에 대한 유연성을 가지고 이루어져야 한다.”원하든, 원치 않든, 하이브리드 워크 시대는 이미 시작되었다. 어느 기업도 이 변화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일하는 시간과 공간, 일하는 방식 전체를 다시 설계하고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긴 여정에 나서야 한다. 물론, 전략과 계획을 잘 세웠다고 하더라도 하이브리드 워크는 단기간에 안착 시키기는 어려운 일이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직원들이 끊김없이 몰입할 수 있는 인프라는 기본이고, 성과 평가 및 보상 제도에 구멍은 없는지 계속 들여다보아야 한다. 또한 모든 구성원이 함께 지켜야 할 ‘그라운드 룰’을 바탕으로 조직마다 세부 규칙을 정비해 나가야 한다. 정보나 기회에 있어 소외당하고 있는 직원들은 없는지, 유대감이나 소속 감은 탄탄한지를 살피는 것도 리더의 일이다. 이 모든 것을 주도적으로 챙기는 기업에 최고의 인재가 몰릴 것은 분명 하다. 일단 작은 걸음이라도 떼 보고 우리 조직에 가장 적합한 모델을 찾아가야 할 때이다.<참고자료>• McKinsey, “It’s time for leaders to get real about hybrid”, July 9, 2021• McKinsey, “What executives are saying about the future of hybrid work”, May 17, 2021• MIT Sloan, “A 4-step framework for returning to the office” by Meredith Somers, Jun 7, 2021• Microsoft, “2021 Work Trend Index Report: The Next Great Disruption Is Hybrid Work—Are We Ready?”, March 22, 2021• Cisco, “What Is Hybrid Work?”-----------------------------------------------IGM세계경영연구원은 지난 18년간 20만명이 넘는 CEO와 임원, 그리고 리더의 성공을 도운 국내 최고의 프리미엄 교육기관으로서 가장 앞선 지식을 연구, 전파함으로써 지식의 가치를 통해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기 위해 존재하는 ‘The Most Advanced Premium Learning Platform’ 입니다. 이것이 바로 IGM PRISM을 만드는 이유입니다.IGM Prism은 비즈니스 리더가 꼭 알아야 할 세상의 변화와 경영의 인사이트를 콕 짚어 드립니다. 프리즘에 빛이 통과하면 다양한 빛의 스펙트럼이 생기듯, IGM Prism을 통해 디지털 / 리더십 / 전략, 마케팅 / Social Impact에 대한 인사이트 스펙트럼이 넓어집니다. 
    작성자 작성일 01-13 조회 4703
  • 77
    [시금치] ‘보여 줄게 완전히 달라진 나’ 페이스북이…
    매년 약 13만명의 사람들이 개명을 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이름을 바꾸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단순히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개명하는 경우도 있지만 운명을 바꾸고 싶어서, 성공하고 싶어서 등 더 나은 미래를 꿈꾸며 이름을 바꾸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사람이 이름을 바꾸는 것처럼 기업도 사명을 바꾸는데요. 지난주 페이스북은 자사 연례행사 ‘커넥트 2021’에서 새로운 사명 메타(Meta)를 선포했습니다. 앞으로 페이스북은 인스타그램, 왓츠앱처럼 SNS 플랫폼 이름으로 사용될 예정이에요. 캘리포니아에 있는 본사 간판도 교체됐는데요. 페이스북의 ‘좋아요’를 상징하는 엄지손가락을 치켜든 모양에서 메타와 무한대를 뜻하는 수학기호(∞) 모양으로 바뀌었죠. 페이스북은 왜 사명을 바꿨을까요? CEO 마크 저커버그는 “현재 우리 사명은 페이스북이라는 하나의 제품만 나타내고 있어 우리가 하는 다양한 일을 대표할 수 없다. 이제 우리의 1순위는 페이스북이 아니다. 메타버스(Metaverse)가 새 미래다”라고 사명을 변경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일각에선 내부고발로 추락한 이미지를 세탁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있습니다.(여기서 잠깐, 메타버스란 초월·가상을 뜻하는 메타(Meta)와 세계·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용어로, 한마디로 현실과 연계된 3차원 가상세계예요. 메타버스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 사명을 메타로 바꿀 만큼 메타버스에 진심이 페이스북. 그간의 행보를 살펴보자면요. 2014년 VR기기회사 ‘오큘러스’를 인수하면서 가상현실 하드웨어 사업을 시작했어요. 2019년에는 오큘러스 헤드셋을 착용하고 참여하는 가상현실 기반 소셜 미디어 서비스 ‘호라이즌’을 공개했고, 2020년부터 베타 서비스를 실시 중이죠. 올해 8월에는 가상현실 협업 플랫폼 ‘호라이즌 워크룸’ 베타 버전을 발표했고, 지난 달에는 가상화폐 디지털지갑 ‘노비’를 출시했어요. 노비와 같은 금융·결제 인프라는 메타버스가 단순히 게임이나 소셜활동을 하는 공간에서 경제활동이 이뤄지는 공간으로 확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최근 많은 기업들이 페이스북처럼 사명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2021년 상반기 사명을 바꾼 상장사는 총 80개사로 전년 대비 45.5% 증가했는데요. 사명을 바꾸는 이유는 1) 사업 영역과 비전의 변화, 2) 기업 간 인수합병, 3) 올드하거나 부정적인 이미지 쇄신 등 다양합니다. 사실 사명을 바꾸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이후입니다. 내부 직원들과 외부 고객들(관계자, 주주, 고객) 모두에게 실체적인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면 실망감만 더 키우게 되거든요. 지난 주 페이스북 아니, 메타는 “10년 안에 10억 명의 사람들이 메타버스를 이용하도록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변화의 출발점에 섰습니다. 앞으로 메타가 어떤 미래를 만들어갈지 함께 지켜볼까요? <IGM 회원가입> 하거나 <뉴스레터 신청>하시면 매주 금요일, IGM 지식코치 '시금치(Creative Leader를 위한 금요일의 지식코치)를 메일함으로 보내드립니다. https://igm.or.kr/edu_inq/news_lt.php  --------------------------------------------------------------------------------- [시금치 받은 원우분들의 후기들 보고 가시죠~:)]  
    작성자 작성일 01-07 조회 4071
  • 76
    [시금치] 오늘도 화상회의 하고 있다면, “더 짧고,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좋든 싫든 화상 회의는 이제 지극히 자연스러운 문화로 자리잡았는데요. 직접 해 보시니 어떤가요? •‘편리하긴 한데… 아무래도 직접 만나서 얼굴을 봐야…’•‘대면 회의와 별 다를 게 없어’(괜찮다는 뜻!) 우려했던 것보다는 화상 회의가 꽤 효과적이면서도, 한편으로는 기술적 문제를 비롯해 신경 써야 할 것이 늘어 더 피곤하거나 답답한 적도 있으셨을 텐데요. 화상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이자 Speaker Dynamics의 CEO, Karin M. Reed는 올해 출간한 책, <Suddenly Virtual: Making Remote Meetings Work>를 통해 화상 회의를 더 생산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끄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그녀가 특히 강조한 내용을 짧게 말씀드려 볼게요. 화상 회의는 무엇보다도 ‘효율성’이 핵심이라고 합니다. 카메라 너머에 있는 상대의 목소리 톤, 표정, 몸짓 언어 등을 읽어내려면 에너지가 더 소비되어 대면 회의보다 피로감이 훨씬 크기 때문이죠. 따라서, 시간을 잘게 쪼개어 회의를 계획하고, 한번에 10가지 안건보다는 2가지 정도의 안건만 다루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덧붙여, 발언권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데요. 화상으로는 서로의 오디오가 겹칠까 봐 걱정하거나, 말을 할 타이밍을 찾느라 눈치보는 일이 생기죠. 이 때, 일단 아무나 지목해 보라는 겁니다. 지목 당한 직원이 할 말이 없다고 하더라도 긴 침묵으로 흘려 보내는 것보다는 낫다는 건데요. 1.2초라는 찰나의 침묵 동안에도 집중력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Teams나 Zoom은 화상 회의에 적합한 도구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말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최근에는 아예 메타버스로 사무실 자체를 옮기는 기업도 생겨나고 있죠. 이번 달 저희 IGM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해 타운홀 미팅을 진행했는데요. 비록 아바타이지만 자리에 앉아있거나 무대에 나와 발표를 하는 것이 꽤 실제와 같은 느낌이었답니다. 일의 미래, 특히 일하는 공간의 혁신은 너무나 순식간에, 지금도 벌어지고 있는 현재진행형인데요. 재빨리 적응하려면, ‘Just do it!’이 가장 시급한 것 같습니다.<IGM 회원가입> 하거나 <뉴스레터 신청>하시면 매주 금요일, IGM 지식코치 '시금치(Creative Leader를 위한 금요일의 지식코치)를 메일함으로 보내드립니다. https://igm.or.kr/edu_inq/news_lt.php  --------------------------------------------------------------------------------- [시금치 받은 원우분들의 후기들 보고 가시죠~:)]  
    작성자 작성일 12-30 조회 3510
  • 75
    [시금치]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외래어…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외래어 1위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에서 필연적일 수 밖에 없는 “스트레스” 라는데요.어깨는 결리고 목은 뻐근하고 만성 피로에 가끔 두통과 소화불량까지… 스트레스를 받으면 우리 몸에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정서적으로는 쉽게 짜증이 나고 주변인들에게 화를 내기도 합니다. 걱정이 늘면서 우울해지고 불안감을 느끼게 되어 기억력이나 집중력도 떨어지죠. 실제로 스트레스가 만드는 호르몬이 자연계에서 뱀의 독성 다음으로 강한 독성을 뿜어낸다고 합니다. 일본의 뇌 분야 권위자이자 의학박사인 하루야마 시게오가 저서 <뇌내혁명>에서 이렇게 설명했는데요. 사람이 화를 내거나 강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뇌에서 노르-아드레날린이라는 물질이 분비되는데, 이것은 강력한 혈압상승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 물질로 독성이 엄청나다는 겁니다. 개인의 정신 건강은 조직의 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 예일대에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우울증에 걸린 근로자는 정신적으로 건강한 근로자보다 결근율이 2배 높고, 생산성 손실은 7배에 이른다고 합니다. 구글, 페이스북을 비롯해 많은 기업들이 구성원들의 ‘마음챙김’을 돕는 배경도 여기에 있습니다. 특히 리더의 스트레스 관리는 본인의 행복 뿐만 아니라, 조직 차원에서도 중요합니다.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잘못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고, 부정적인 분위기를 전파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죠.  리더 여러분께서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나만의 방법을 갖고 계실 텐데요.이에 더해, 듣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를 65% 줄여주는 음악을 소개해드립니다.영국의 신경과학자, David Lewis-Hodgson 박사 팀은 피실험자들에게 어려운 퍼즐을 최대한 빨리 풀도록 스트레스를 주는 상황에서 음악을 들려줬습니다. 그리고 심박수와 혈압, 호흡 속도 등 생리학적 안정감을 측정했는데요.이 중 효과가 좋은 10개의 음악을 아래와 같이 추천했습니다.    1. "We Can Fly," by Rue du Soleil (Café Del Mar) 2. "Canzonetta Sull'aria," by Mozart 3. "Someone Like You," by Adele 4. "Pure Shores," by All Saints 5. "Please Don't Go," by Barcelona 6. "Strawberry Swing," by Coldplay 7. "Watermark," by Enya 8. "Mellomaniac (Chill Out Mix)," by DJ Shah 9. "Electra," by Airstream 10. "Weightless," by Marconi Union느긋한 마음으로 감상하시며 한 주의 스트레스를 날려 버리시면 어떨까요?이번 한 주도 고생 많으셨습니다!<IGM 회원가입> 하거나 <뉴스레터 신청>하시면 매주 금요일, IGM 지식코치 '시금치(Creative Leader를 위한 금요일의 지식코치)를 메일함으로 보내드립니다. https://igm.or.kr/edu_inq/news_lt.php  --------------------------------------------------------------------------------- [시금치 받은 원우분들의 후기들 보고 가시죠~:)] 
    작성자 작성일 12-17 조회 5250
  • 74
    [칼럼] ‘리스크 테이킹’을 두려워하지 않는 비즈니스 …
    급변 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성장하려면 ‘좋은 리스크’를 이끌어 갈 리더십·조직 문화 갖춰야 2021년도 저물어 가고 있다. 한 해를 잘 마무리하기 위한 분주함과 2022년의 새로운 성장과 도약을 위한 준비와 고민이 크다. 급속한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서 살아남기 위한 리더 그룹 중심의 논의가 많아지고 있다.문제는 이런 워크숍을 통해 나오는 결과물들이 매년 반복되거나 딱히 만족스럽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어서 경영진과 리더들이 표현하는 답답함과 불안감은 꽤나 커 보인다. 어떤 변화와 처방이 필요할까 워크숍의 내용과 함께 여러 경영진을 포함한 리더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공통적인 상황을 발견할 수 있다.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위해 필요한 ‘적극적인 리스크 테이킹(risk-taking)’보다 ‘수동적’이거나 ‘방어적인 안정성’에 초점을 맞춰 대부분의 판단과 의사 결정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조금은 조심스럽고 과한 표현일 수 있지만 이것이 한국 경영진의 현실이다.이 시대를 대변하는 단어 중 하나는 ‘애자일’이다. 빠른 변화 속도만큼이나 우리에게 다가오는 리스크는 크기와 속도 그리고 영향력이 크다. 그리고 앞으로의 비즈니스와 경영에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불행히도 한국 기업들의 리스크 테이킹 능력은 다른 역량과 능력에 비해 많이 부족한 편이다. 이유는 참 단순하고 아이로니컬하다. 우리는 리스크를 피하는 것으로 배우고 경험해 왔기 때문이다. 심지어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한 전술적인 스킬로 상대가 얻게 될 리스크를 언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배우기도 했으니 리스크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짐작할 수 있다.그런데 이제 새로운 게임 체인저들이 나타나고 기존의 영위하던 사업 모델이나 가치를 너무나도 빠른 시간에 흔들어 버리는 현상이 비일비재하다.내년, 아니 바로 지금 이 순간 우리가 상시 외치는 끊임없는 시도와 변화·혁신·도전이라는 단어가 제대로 구현되려면 우리 기업과 우리 조직의 리스크 테이킹 능력을 강하게 만들어야 한다.특히 조직의 방향성과 지속 성장의 가치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하는 임원 그룹과 리더들에게 리스크 테이킹 역량은 비즈니스 리더십의 가장 핵심적인 미션이자 역할이다.그렇다면 새로운 성장에 도전하기 위한 리스크 테이킹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첫째, 리스크를 바라보는 시각과 생각을 바꿔야 한다. 리스크를 구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필자가 강의와 워크숍에서 자주 하는 질문은 바로 ‘좋은 리스크’와 ‘나쁜 리스크’의 차이점이다. 굉장히 중요한 질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당연한 얘기지만 ‘리스크의 성격이나 심각성 등을 고려해 선택해야 하는가’, ‘얼마나 분석이 잘돼 있는가’ 혹은 ‘준비가 어느 정도 돼 있는가’ 등의 판단 기준이 있다. 그럼에도 이 질문이 중요한 이유는 비즈니스와 업무 현장에서 우리가 리스크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그 과정과 결과물이 완전히 다른 이야기가 되기 때문이다.핵심은 리스크를 바라보는 프레임과 방식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리스크를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좋은 리스크가 될 수도, 나쁜 리스크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리스크를 긍정적이고 도전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대응하기 시작하면 새로운 기회를 얻을 확률이 아주 높다.최근 우리가 접하는 국내외의 게임 체인저들을 보면 적극적인 리스크 테이킹을 통해 혁신적인 성과와 성장의 기회를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쉬운 점은 그것이 단순히 벤치마킹 사례를 찾아다니던 사람에게는 머리로만 이해하고 시각의 전환을 통한 의지와 실천으로 발현되는 경우가 매우 적다는 것이다. 이 생각을 바꾸는 것이 가장 먼저이고 중요하다.들째, ‘좋은 리스크’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조직의 분위기와 문화 그리고 환경이 바뀌어야 한다.흔히 리스크를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단어는 바로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실패 확률이다. 실패를 용인하지 않는 문화는 조직 내 그 누구에게도 어떠한 도전과 용기를 쉽게 허락하지 않는다. 이는 실패에 대한 기회비용을 손실로만 계산하고 있기 때문이다.아마존이나 구글 같은 기업의 성장 DNA를 들여다보면 ‘실패의 문화(culture of failure)’, ‘똑똑한 실패(smart failure)’ 등과 같은 살아있는 개념이 있다. 한마디로 생산적인 실패와 창의적인 갈등을 통해 새로운 성장의 에너지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실패를 축하하는 이벤트들도 있다. 정확히 말하면 실패를 통해 갖게 된 학습과 그 내용을 축하하는 것이다. 즉 새로운 학습과 성장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널리 알려진 구글의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가 이 내용을 입증하고 있다.우리 조직의 성장 방식에 리스크 테이킹할 수 있는 DNA와 두려움 없이 도전하고 일하는 의지와 긍정적 공감대의 심리적 안전감이 자리 잡도록 해야 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이를 위해선 보다 열린 리더십의 자세와 주도적인 변화가 먼저 필요하다. “가장 큰 위험은 어떤 위험도 감수하지 않는 것” 마지막 한 가지는 리스크 테이킹을 위한 인텔리전스 시스템(intelligence system)을 만들어야 한다. 리스크를 얼마나 활용하고 수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재무적 리스크와 비재무적 리스크, 전략적 리스크, 실무적(operation) 리스크 등 현업에서 다뤄야 할 성격과 구조가 다 다르다.리스크의 발생 가능성과 위험도를 표현하는 단어도 늘어나고 있다. 지속적인 경고와 예측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간과하고 있다가 위험에 빠지고 마는 현상을 뜻하는 ‘회색 코뿔소(grey rhino)’부터 발생 가능성은 낮지만 일단 발생하면 충격 자체가 매우 큰 ‘블랙 스완(black swan)’과 ‘네온 스완(neon swan)’, 기후 변화가 초래하는 위기를 경고하는 ‘그린 스완(green swan)’, 계속 발생되고 있음에도 대응책을 준비하지 못해 발생하는 안타까운 리스크를 뜻하는 ‘화이트 스완(white swan)’ 등이다.기업이 직면하고 도전해야 하는 리스크가 어떤 것인지 구조화하고 준비해야 한다. 더 중요한 것은 리스크 분석과 대응을 기존의 경험과 한정된 리소스의 프레임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일단 현장 중심의 주도적이고 선제적인 리스크 테이킹을 위한 원칙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관련한 지식과 역량을 갖출 수 있는 학습과 경험이 필요하다.건설적인 리스크 테이킹은 적절한 대응 차원을 넘어서는 순간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만드는 데 직결되기 때문이다.위험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는 많다. 대부분의 단어가 ‘피하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반면 ‘라시카레(risicare)’라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리스크라는 단어는 유일하게 ‘용기 내 도전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능동적 선택의 의미가 있다.“급속도로 변화하는 세상에서 가장 큰 위험은 어떤 위험도 감수하지 않는 것이다.”마크 저커버그가 페이스북(현 메타)을 창업할 시기에 페이팔의 공동 설립자이자 ‘페이팔 마피아’, 집단의 정신적 대부라고 불리는 피터 틸 팰런티어 테크놀로지 회장이 그에게 해 준 조언이다.모바일 혁명에서 모빌리티 혁명으로의 큰 흐름 속에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찾아야 하는 기업의 미션과 리더들의 고민에 너무도 의미 있게 다가오는 말이다.변화·혁신·도전은 기업의 가장 큰 생존의 미션이다. 다가오는 2022년 차별화와 새로운 모멘텀이 필요하다면 우리 조직의 리스크 테이킹 능력을 어떻게 강화하고 새로운 지속 성장의 에너지와 문화로 만들 것인지 시간을 들여 고민해야 할 때다. ‘좋은 리스크’를 통해 새로운 기회와 가치를 창출해 내는 비즈니스 리더십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김광진 IGM세계경영연구원 교수 ** IGM세계경영연구원은 한경비즈니스에 해당 컬럼을 연재하고 있습니다.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111173882b 
    작성자 작성일 12-14 조회 4386
  • 73
    [칼럼] 코딩 시대에 코딩 없이 살아남기
    깃허브는 개발자가 코딩 과정에 AI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코파일럿(Copilot) 서비스를 출시했다. 사진 셔터스톡 非개발자 손에도 ‘잘 익은’ 코딩 플랫폼의 등장어느 사무실이나 있는 사무실 슬리퍼. 서로 색부터 모양까지 완전히 같아 보이지만 사람들은 각각의 슬리퍼에 발을 넣는 순간 신기하게도 본인의 것을 바로 구분해 낸다. 신는 동안 신발에 남은 본인의 발 모양과 움직임 등에 길들었기 때문이다. 손에 잘 익은 도구란 그런 것이다.최근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서 이와 비슷한 경험을 해봤다는 직장인이 늘고 있다. 보고서 작성과 데이터 관리 등에 사용하는 업무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는 ‘리본 메뉴’라는 것이 있다. 유사한 기능이 묶여 있어 서너 번 클릭으로 각 기능을 바로 쓸 수 있다.최근 몇 년 새 이런 기능은 더욱 강화됐다. 클라우드 서비스로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업무용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익히고 적절한 순간 필요한 기능을 더 적은 클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기 때문이다. AI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에 따라 더 적합한 형태로 재구성되는 셈이다. 자주 쓰는 메뉴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일정한 규칙으로 정형화하거나 더 적합한 방식으로 도식화하기도 한다. 이 밖에 디자인 제안, 전 세계 언어 번역 제공 등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제때 제안하기도 한다. 마치 사무실 슬리퍼를 떠올리게 한다.그리고 이제는 더 나아가 비(非)개발자를 위한 업무용 앱 제작을 돕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하나둘씩 등장하고 있다. 이 앱들은 누구에게나 익숙한 블록 쌓기, 드래그 앤드 드롭(Drag-and-drop·끌어서 놓기) 등의 형식을 도입해 처음부터 사용자 손에 잘 익은 도구를 내걸고 있다. 최소한의 코딩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로 코드(Low Code) 또는 전혀 코딩이 필요하지 않은 노 코드 플랫폼들이다.영국 런던 히스로 공항은 가장 붐비는 공항 중 한 곳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기준으로 국제선 이용객만 전 세계 2위에 달했다. 히스로 공항 직원들은 전 세계인을 상대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중에서도 기내 반입 가능한 수하물을 안내하는 일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전 세계 주요 언어로 준비된 종이 책자를 들고 이용자에게 맞춰 품목마다 짚어가며 안내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직원들은 언제 누구에게 질문을 받을지 알 수 없으니 큰 책자를 늘 휴대해야 했다. 또 반입 가능 물품이 바뀌는 날에는 새로운 책자를 대량으로 만들어내야 했다.이를 본 한 히스로 공항 직원은 회사에 도입된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살펴보다가 코딩 없이 앱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을 발견했다. 그는 이 앱을 사용해 일주일 만에 종이 책자를 앱으로 만들었다. 그의 이름은 사밋 사이니로, 당시 공항에 13년째 근무하고 있는 보안 담당자였다. 물론 사이니는 소프트웨어 개발과는 전혀 관계없는 직원이었다.그가 만든 앱은 책자 인쇄에 들었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줬다. 또 직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줬다. 이런 성과는 자연스레 조직 안으로 전파됐고 각 부서는 적극적으로 앱 기획과 개발에 착수했다. 그 결과 현재까지 앱 30개가 개발됐고 7만5000장의 서류 작업을 없앴다. 데이터 입력 시간도 약 1000시간을 단축했다.경제적 이점에 더불어 동료를 돕는다는 성취감도 조직에 문화로 자리 잡았다. 비슷한 사례도 많다. 필자가 속한 IGM세계경영연구원에서도 코로나19 이후 매일 반복해온 건강 이상 유무 확인 업무를 앱으로 대체해 꼬박 2시간씩 이 업무를 수행했던 직원의 근무 효율을 크게 개선한 적이 있다. 이 역시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컴퓨터 언어에 대한 지식이 없었던 사원이 단 일주일 만에 이룬 성과다. 사진 셔터스톡 글로벌 주요 IT 기업도 푹 빠진 ‘노 코딩’모바일 앱, 웹 페이지,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영상 제작,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콘텐츠 제작 등 로 코드와 노 코드 플랫폼이 활약하는 영역이 점차 늘고 있다. 대형 기술 기업조차도 개발 인력 구하기가 어려운 지금,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이런 배경에서 IT 시장조사기관 포레스터 리서치는 올해 전체 기업 소프트웨어의 75%가 로 코드 기반으로 구축될 것으로 예상했다. 관련 지출은 2022년까지 212억달러(약 2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실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SAP 등 다양한 IT 소프트웨어 기업이 로 코드와 노 코드 플랫폼 개발사들을 앞다퉈 인수하고 있다. 그들은 자사 솔루션에 이런 기능을 공개하고 지금은 최종 사용자들이 그 변화를 체감하는 수준에 이르렀다.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 피터 드러커는 “조직문화는 전략을 아침 식사로 먹어 치운다”라고 말했다. 이는 리더의 그 어떤 고민보다도 조직문화에 대한 생각이 앞서야 함을 뜻한다. 디지털 시대에 그 가치는 더욱 크다. 디지털 혁신의 완성은 기술 자체가 아닌 이를 활용하는 ‘사람’과 ‘문화’에 있다. 고객 접점에 있는 현업 실무자가 바로 만들어 고객 경험은 물론 직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로 코드와 노 코드 플랫폼. 전 직원이 디지털 코드로 무장하고, 모든 리더가 그 활용을 본격적으로 고민해야 할 때다. 김광진 IGM세계경영연구원 교수 ** IGM세계경영연구원은 이코노미조선에 해당 컬럼을 연재하고 있습니다.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6&t_num=13611815  
    작성자 작성일 12-13 조회 3764
전체 405건 37 페이지
게시물 검색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8길 11-16 사업자등록번호 : 101-86-24196 대표자 : 조승용 전화 : 02-2036-8300 팩스 : 02-2036-8399 Copyright©주식회사 IGM 세계경영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QUICK MENU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