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GM 버츄얼캠퍼스 OPEN] 온라인으로 좀 더 쉽고 재미있게 공부할 방법 없을까?

IGM 인사이트

이미지 목록

  • 255
    [프리즘] 지능형 로봇의 대중화 - (1) 제조 영역
    산업계 전반에서 기업들은 로보틱스 및 자동화에 막대한 투자를 하면서, 로봇 활용 영역은 기존 제조업에서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Mckinsey) 조사에 따르면, 물류 및 풀필먼트 산업에서 자동화에 투자하는 비용은 2027년까지 전체 비용의 3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설문조사 대상 산업 중 가장 높은 비율이다. 또한 자동화에 가장 큰 지출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소매 및 소비재 산업(23%)이고, 식음료 산업(15%), 의료 산업(15%), 물류 및 풀필먼트 산업(12%), 자동차 분야(8%)가 그 뒤를 이었다.* Source: McKinsey Global Industrial Robotics Survey, August 2022제조 영역전 세계 산업용 로봇 수요는 자동차, 전기·전자 등 제조업에서 전체의 67%를 차지하고 있다. 제조업에서 활용되는 로봇은 센서, 커넥티드 시스템, AI 등의 기술 발전으로 혁신을 거듭하고 있으며, 자율적으로 작동하며 사람을 돕고 있다. 제품 분류, 조립, 가공, 부품 재활용과 같이 제조 밸류체인 전체에 걸쳐 로봇은 다양하게 활용된다.· 애플(Apple)은 재활용 및 재생 가능한 자재만으로 제품을 만들겠다는 궁극적인 목표 아래, 재활용 로봇들을 출시 및 활용하고 있다. 그 중, 2019년 출시된 데이지(Daisy)는 기존 파쇄기에서는 불가능한 수준의 정밀도로 연간 120만 개의 구형 아이폰을 개별 부품으로 분해하고, 코발트와 같은 중요 자원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돕는다. AI 기술이 탑재되어 23개의 아이폰을 구분하고 18초마다 하나씩 처리할 수 있으며, 점차 기능을 고도화해 제품 전반에 걸쳐 재활용 소재를 확대하고 있다. 또다른 재활용 로봇 데이브(Dave)는 특정 엔진에서 텅스텐, 구리, 금, 강철을 회수하고, 타즈(Taz) 로봇은 플라스틱에서 자석을 분리한다. 애플 워치 시리즈 7과 아이폰 13은 기기 전체에 99% 재활용 텅스텐을 활용했다.* Source: Apple제조업에서 협동 로봇(Collaborative Robot, 코봇)의 성장도 두드러진다. 코봇은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사람과 작업 공간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상 사람이 접근하기 힘들고 넓은 설치 면적이 필요한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의 단점을 보완해준다.글로벌 컨설팅 기업, 커니(Kearney)에 따르면 코봇은 사람과 함께 일하며 전체 생산성을 85~100% 높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완전 자동화보다, 코봇과 사람이 협업할 때 생산성이 더 높아지기도 한다. MIT 연구진에 따르면, BMW 생산라인에서 외팔 로봇과 협업했을 때, 로봇이나 사람이 혼자 일할 때보다 생산성이 85% 높아졌다.안전하게 일하면서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 로봇 도입 비용 절감과 같은 장점 덕분에 코봇 시장은 확대되고 있다. 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2023년 12억 달러 규모에서 2029년 68억 달러 규모(연평균 성장률 34.3%)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8년에 코봇을 최초로 상용화한 기업,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은 글로벌 코봇 시장 점유율 40%를 차지하고 있는 1위 기업이다. 캐나다 스피커 제조 기업, 패러다임 일렉트릭(paradigm electronics)은 유니버설 로봇의 코봇을 활용해서 생산성 50%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 스피커 마감 단계에서 불균일한 표면을 갈아내는 고도로 숙련된 작업이 필요한데, 능숙한 직원을 구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에 코봇에게 해당 작업을 맡기고, 직원은 코봇의 작업을 감독하며 자동화 공정 후의 품질을 관리한다.* Source: paradigm electronics<References>· “Three tailwinds for robotics adoption in 2024 and beyond”, 2023.9.15, EY· "Collaborative Robot Market by Payload, Application, Industry and Region - Global Forecast to 2029", 2023.7, MarketsandMarkets· “2023 State of Industry 4.0(Digital-driven resilience)”, 2023.8.17, Kearney· “Robotics, Automation and Generative AI: ‘The Terminator’ Paradox”, 2023.8.1, Gartner· “A Smarter Strategy for Using Robots”, 2023.4, Harvard Business Review· “Top 5 Robot Trends 2023”, 2023.2.16,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Unlocking the industrial potential of robotics and automation”, 2023.1.6, Mckinsey· “How Apple Daisy de-manufacturing machines battle e-waste”, 2023.1.4, wallpaper· “10 years of Amazon robotics: how robots help sort packages, move product, and improve safety”, 2022.6.22, Amazon· “Environmental Progress Report”, 2022.4.19, Apple· “Smart manufacturing’s great convergence: Industry 4.0”, 2022.4.11, Kearney· “Robotics Outlook 2030: How Intelligence and Mobility Will Shape the Future”, 2021.6.28, BCG· “미국,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찾는 수출 기회”, 2023.8.14, KOTRA
    작성자 작성일 11-06 조회 2469
  • 254
    [시금치] 구성원 스스로 움직이게 하려면? 'OO'를 …
    ‘감자튀김에 초장 찍어 먹기 vs 회에 케찹 찍어 먹기’‘맨주먹 은가누가 이긴다 vs 금속 배트 든 오타니가 이긴다’‘사람 몸에 치와와 얼굴로 살기 vs 치와와 몸에 사람 얼굴로 살기’여러분이라면 어떤 것을 고르시겠어요?최근 한 대학교 중앙도서관 쓰레기통에 붙은 밸런스 게임(*선택하기 어려운 두 가지 상황 중 반드시 하나를 고르게 하는 게임)인데요. 박스로 투표함을 만들어 다 쓴 컵홀더, 빨대를 넣어 선택하게 만들었죠. 도서관을 이용하는 학생들이 일회용 컵을 분리배출 하지 않고 마구 버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학생이 설치했다고 합니다.놀랍게도, 엄청난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3시간 만에 상자 안에 100개 이상의 빨대와 컵홀더가 쌓였죠. 직접적인 안내 없이, 자연스럽게 ‘쓰레기’ 분리배출을 이끌어낸 것입니다.이 방법을 행동경제학에서 ‘넛지(Nudge)’라고 부릅니다. ‘자연스러운 상황을 만들어 상대가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을 의미하는데요. 명령이나 지시 없이, 자유로운 선택의 여지를 남겨 둠으로써 자발적인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많은 기업에서도 구성원을 변화에 동참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넛지를 활용하고 있습니다.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구글은 넛지 활용의 모범 사례로 손꼽힙니다. 구글 사내식당에서는 전 직원에게 최고급 음식을 공짜로 제공하는데, 그 부작용으로 ‘입사하면 15파운드(약 7킬로그램)가 찐다’는 말까지 생길 만큼 비만율이 늘기 시작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R에서는 구성원들이 건강한 식습관을 갖도록 유도하는 작은 장치들을 도입했습니다.우선, 샐러드 바를 식당 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비치하고, 초콜릿과 캔디가 든 통은 내용물이 안보이도록 스테인리스 용기로 바꾸었습니다. 또 작은 사이즈의 접시를 추가 비치한 뒤 ‘큰 접시를 사용하면 더 많이 먹게 된다’는 안내 문구를 게시했습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는데요. 도입 후 전체 직원 1/3의 식사량이 눈에 띄게 줄었고, 섭취 칼로리는 300만Kcal나 감소했습니다. 간단한 방법으로, 직원들을 자발적인 변화로 이끌어낸 것이죠.간단해 보이지만 아이디어가 필요한 넛지,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요? 인간의 본능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치 합리적일 것 같지만, 인간은 사실 대부분 본능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인데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그 중 대표적인 2가지를 알려드립니다.첫번째, ‘귀차니즘’을 이용하세요. 인간은 누구나 번거로운 일은 피하려고 하는 본능이 있습니다. 구글 사내식당에서 초콜릿과 캔디를 찾기 어렵게 만들자, 덜 먹게 되는 것처럼 말입니다.두번째, ‘재미’를 주세요. 인간이 번거로워도 기꺼이 하는 일이 있다면, 그건 바로 재밌어 보이는 일입니다. 밸런스 게임에 참여하기 위해 귀찮은 분리수거를 마다하지 않는 대학생들의 행동을 보면 알 수 있죠.매번 ‘이렇게 해라’ 잔소리하는 리더가 되기 싫으신가요? 조직 내 변화는 필요한데, 시작하기 어려우신가요? 그렇다면, 넛지를 활용해 구성원이 스스로 행동하는 조직을 만들어보세요. * 매주 금요일, IGM 시금치를 메일로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작성자 작성일 11-03 조회 1782
  • 253
    [칼럼] ‘똑똑한 리더’ 보다 ‘따뜻한 리더’가 돼야 …
    어린 시절부터 천재로 불리며 미국 최고 명문대 중 하나인 스탠퍼드대를 졸업하고 글로벌 혁신의 상징인 실리콘밸리에서 탄탄대로를 걷다 37세에 ‘미국 500대 기업 최연소 최고경영자(CEO)’란 기록을 세운 마리사 메이어….하지만 2012년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한 검색 포털 사이트 기업 야후(Yahoo)를 되살리겠다며 야심 차게 CEO에 취임한 그는 극심한 실적 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불과 5년 만에 쫓겨나듯 자리에서 물러났다.사업 전략 등에 대한 잘못된 판단도 문제였지만 그 무엇보다 그의 리더십이 도마 위에 올랐다. 조직이 변화와 혁신을 꾀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지 않은 것이다.독단적으로 결정했고 일방적으로 통보했으며 따르지 않는 직원은 해고했다. 또 직원들을 평가할 때 기계적으로 등급을 매기고 하위 10%는 무조건 해고했다. 그가 CEO로 있는 동안 야후 엔지니어의 50%가 회사를 떠났다.오죽하면 ‘마리사 메이어가 매주 수요일마다 사람들을 자른다’는 언론 보도가 나올 지경이었다. 그에게 남은 것은 ‘혼자 잘난 나르시스트’, ‘감정 없는 로봇’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과 ‘야후의 조직 문화를 망친 주범’이라는 비난이었다.돌이켜 보면 메이어 전 CEO는 그 누구보다 똑똑한 사람 중 한 명이지만 당시 ‘이것’이 부족했던 것 같다. 바로, ‘정서 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이다.인생 성취에 영향 미치는 ‘정서 지능’정서 지능은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피터 샐러베이 예일대 총장과 성격심리학 전문가 존 메이어 뉴햄프셔 교수가 1990년 공동 개발한 용어다. ‘정서가 주는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이것은 지적으로 얼마나 똑똑한지를 가리키는 지능지수(IQ)와 구분된다. IQ는 타고나지만 정서 지능은 학습을 통해 계발될 수 있다. IQ가 학교에서의 성공에 큰 영향을 끼친다면 정서 지능은 인생의 성취에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2000년대 들어 심리학자 대니얼 골먼 하버드대 교수가 정서 지능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이어 갔다. 그는 정서 지능이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관리하며 대인 관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조직 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했다.나아가 골먼 교수는 정서 지능을 네 가지 핵심 능력으로 세분화했다. 자기 인식, 자기 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 관리 등이다.먼저 자기 인식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정서 지능의 핵심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 자기 인식을 갖췄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타샤 유리크 조직심리학자의 연구에 따르면 10~15%만이 자기 인식을 갖고 있다고 한다.조직에서 자기 인식을 잘 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는 360도 다면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다. 상사·동료·부하 직원의 피드백을 통해 조직에서 자기 자신이 어떻게 인식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다음으로 자기 관리는 특히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말한다. 가령 자기 인식이 뛰어난 리더는 회의가 길어질 때 본인이 짜증을 잘 낸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여기에 자기 관리도 잘할 수 있다면 부정적인 감정이 올라올 때 이를 그대로 표출하기보다 자신의 태도를 통제할 수 있을 것이다.자기 조절을 잘하고 싶다면 스트레스 상황에서 충동적이고 즉각적으로 터져 나오는 감정적 반응을 피해야 한다. 그 대신 침착하게 의도적으로 표현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매일 일기를 쓰며 하루를 되돌아보고 무의식적인 감정을 조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자기에 대한 인식과 관리만큼 사회적 인식 또한 중요하다. 이것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사회적 인식이 뛰어난 리더는 공감을 잘 실천한다.공감을 잘한다는 것이 누군가의 의견에 무조건 동의하라는 뜻은 아니다. 열린 마음으로 있는 그대로 상대의 말을 듣고 감정과 관점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그 결과 그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차리고 신뢰를 쌓는 것이다. 또 오늘날 사회적 인식을 높이려면 다양성을 포용할 줄 알아야 한다. 조직 내 인력들의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존중하는 것이다.마지막으로 관계 관리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유지하는 능력을 뜻한다. 리더에게 대입해 보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지도하고 멘토링하고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이 된다.사람의 마음을 움직여야 좋은 리더그렇다면 정서 지능이 높은 리더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 다음의 인물들을 통해 리더로서 무엇을 실천해야 할지 알아보자.첫째, 구성원과 비전을 공유한다. 정서 지능이 높은 리더는 지시나 명령보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우선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자신이 생각하는 미래의 청사진을 공유하고 그 과정에서 구성원의 공감과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팀 쿡 애플 CEO를 보자. 2011년 스티브 잡스가 세상을 떠났을 때 쿡 CEO가 이끄는 애플에 대한 우려가 쏟아졌다. 당시만 해도 잡스의 비전과 카리스마가 회사의 주축이었기 때문에 그의 죽음으로 인해 회사 내부도 불확실성과 혼란에 빠진 것이다.하지만 쿡 CEO는 이 상황에서 리더십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그는 직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회사의 가치관과 목표를 재확인했다. 그는 “우리는 여전히 혁신의 선두에 서 있고 고객들을 위해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또 혁신과 열린 의사 결정을 촉진하기 위해 조직 내부를 개편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는 문화를 구축했다. 잡스의 죽음 이후 애플의 기업 가치는 몇 배로 불어났다.둘째, 정서 지능이 뛰어난 리더는 구성원의 성장에 관심을 기울인다. 2014년 마이크로소프트 CEO에 취임한 사티아 나델라는 ‘성장 마인드셋’을 강조하며 조직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그는 도전과 실패를 통해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을 조직 전반에 심으며 구성원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교육 및 개발 프로그램을 확대했다. 그는 직원들에게 새로운 기술과 역량을 개발하도록 장려하며 기술업계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셋째, 정서 지능이 뛰어난 리더는 구성원의 감정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잘 보듬을 줄 안다. 직원들의 감정을 어루만지는 것은 그 어떤 외형의 보상보다 큰 효과를 발휘한다.다시 나델라 CEO를 예로 들어보자. 그는 직원들의 의견을 진심으로 경청하고 공감하는 리더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노력은 조직 내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육성하는 데 바탕이 됐다.이전까지 적대적이고 경쟁적이었던 마이크로소프트의 조직 문화는 나델라 CEO 취임 이후 협업하고 포용하는 문화로 변화할 수 있었다.넷째, 정서 지능이 뛰어난 리더는 독단적으로 의사를 결정하지 않는다. 이들은 항상 배우겠다는 겸손한 자세와 함께 상대방의 인격을 존중한다.정리해 보자. 뛰어난 리더는 단순히 지적 능력만으로는 부족하다. 갈수록 불확실하고 복잡한 경영 환경에서 조직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협력을 통한 성과를 내고 싶다면 정서 지능이 강력한 리더십 도구가 될 것이다.미래를 준비하고 조직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원하는가. 리더로서 정서 지능을 점검하고 이를 높이기 위해 실천해 보자.김민경 IGM세계경영연구원 인사이트랩장·수석연구원
    작성자 작성일 11-01 조회 2786
  • 252
    [프리즘] 왜 지금, ‘로보틱스(Robotics)’에 …
    1920년, 체코의 소설가 ‘카렐 차페크(Karel Capek)’의 희곡에서 처음 탄생한 개념, ‘로봇’. 이 용어는 강제 노동(forced labor)을 의미하는 체코어 ‘로보타(robota)’에서 비롯되었다. 그로부터 100여년이 지난 오늘날, 인류 노동을 대신해주는 로봇은 산업 전반에 걸쳐 노동 패러다임을 점진적으로 바꾸고 있다.생성형 AI, 컴퓨터 센서 등 첨단 기술 혁신이 나날이 가속화되면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기술의 집합체인 로봇 또한 진화를 거듭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고령화와 저출생에 따른 노동 인구 감소, 인건비 상승, 자동화의 일반화와 같은 중장기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제조업 외에도 물류, 의료, 국방, 농업, 서비스 등 산업 곳곳에 로봇 활용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각 산업에서 사람과 로봇은 어떤 시너지를 내고 있을까? 또한 AI 발전에 따른 지능형 로봇의 잠재력을 짚어보고, 로보틱스가 우리의 삶과 비즈니스에 어떤 변화와 기회를 가져올지 살펴보자.로보틱스(Robotics, 로봇공학)란, 로봇의 연구개발, 설계, 작동, 제어부터 로봇을 어떻게 활용하여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및 기술 분야다. 여기서 로봇은 AI, 컴퓨터 센서와 같은 소프트웨어와 몸체인 하드웨어가 융합되어 물리적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기계를 의미한다.국제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IFR)에서는 로봇을 크게 산업용(제조용)과 서비스용으로 구분한다. 산업용 로봇은 공장 자동화 로봇과 협동로봇과 같이 주로 자동차, 전기·전자 등 제조 산업에서 활용하는 로봇이다. 서비스용 로봇은 국방, 의료, 물류 산업 등에서 수행하는 ‘전문서비스 로봇’과 가사, 여가, 교육과 같이 일상 생활을 돕는 ‘개인서비스 로봇’으로 나뉜다.그동안 로봇 시장은 산업용 로봇이 주도해왔으며, 서비스용 로봇은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있다. 로봇 산업 발전의 최정점이 될 휴머노이드 로봇은 아직 상용화되진 않았지만 활용도가 무궁무진할 것이며, 테슬라(Tesla), 현대자동차의 보스턴 다이나믹스, 앱트로닉(Apptronik),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빅테크 기업, 스타트업 할 것 없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최근 많은 기업들이 로보틱스를 차세대 전략 기술로 삼고 로봇 사업에 뛰어드는 이유가 있다. 경제사회적, 지정학적, 기술적 변화 속에서 생산성, 효율성, 유연성 증가 및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1) 먼저, 기업이 극심한 인플레이션 및 공급망 중단, 인건비 증가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 로보틱스의 역할과 기여는 더욱 커지고 있다.전 세계적으로 팬데믹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거치며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고, 해외에 생산거점을 둔 기업은 리쇼어링(reshoring, 본국 회귀) 또는 니어쇼어링(nearshoring, 근접국 이동)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은 비용 효율적인 생산·유통 솔루션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으며, 이때 로봇과 자동화가 생산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2) 이와 연계된 관점에서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인구 고령화와 저출생 이슈도 로봇 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꼽힌다. 이미 초고령 사회로 접어든 일본을 비롯해 우리나라와 중국도 심각한 생산 가능 인구 감소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로봇이 부상하고 있다.3) 첨단 기술의 발전 또한 로봇 시장을 이끄는 핵심 요인 중 하나다. 컴퓨터 비전, 라이다, 5G, 빅데이터, IoT, 반도체 등 첨단 기술이 융합된 로봇은 더욱 빠르게 발전하면서, 작업 효율과 생산성을 높여주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의 기반이 되는 대규모 언어모델(LLM), 트랜스포머 모델과 같은 기술은 로봇을 더 지능적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에, 차세대 AI 로보틱스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4) 기술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구독형 비즈니스 모델(RaaS, Robot as a Service) 덕분에 로봇 초기 투자 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서 로봇 산업으로의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있다.글로벌 투자 기업, ARK Investment Management에 따르면 산업용 로봇의 평균 가격은 2011년 4만 7,000달러에서 2022년 2만 3,000달러로 지난 10년 동안 절반으로 떨어졌으며, 2025년까지 50~60% 더 떨어질 것으로 예측한다.그동안 높은 설비 투자와 재교육 비용으로 인해 대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에서 로보틱스를 통한 이점을 누리기 어려웠지만, RaaS 모델로 중소 규모의 기업도 로봇 기술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됐다.이러한 환경에 힘입어 로보틱스 시장 규모는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제로봇연맹에 따르면, 글로벌 로봇 시장 규모는 2022년 360억 달러(약 47조 8000억 원)에서 2025년 530억 달러(약 70조 3000억 원)로 성장할 전망이다.<References>· “Three tailwinds for robotics adoption in 2024 and beyond”, 2023.9.15, EY· "Collaborative Robot Market by Payload, Application, Industry and Region - Global Forecast to 2029", 2023.7, MarketsandMarkets· “2023 State of Industry 4.0(Digital-driven resilience)”, 2023.8.17, Kearney· “Robotics, Automation and Generative AI: ‘The Terminator’ Paradox”, 2023.8.1, Gartner· “A Smarter Strategy for Using Robots”, 2023.4, Harvard Business Review· “Top 5 Robot Trends 2023”, 2023.2.16,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Unlocking the industrial potential of robotics and automation”, 2023.1.6, Mckinsey· “How Apple Daisy de-manufacturing machines battle e-waste”, 2023.1.4, wallpaper· “10 years of Amazon robotics: how robots help sort packages, move product, and improve safety”, 2022.6.22, Amazon· “Environmental Progress Report”, 2022.4.19, Apple· “Smart manufacturing’s great convergence: Industry 4.0”, 2022.4.11, Kearney· “Robotics Outlook 2030: How Intelligence and Mobility Will Shape the Future”, 2021.6.28, BCG· “미국,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찾는 수출 기회”, 2023.8.14, KOTRA
    작성자 작성일 10-30 조회 1845
  • 251
    [시금치] 아침마다 피곤한 이유? 당신의 휴식은 '가짜…
    ‘#Bedrotting’ 이라는 말, 들어 보셨나요? 요즘 해외 Z세대들의 유행어인데요. 틱톡, 인스타그램 스토리 등 SNS에서 해시태그 1억 회가 넘을 정도로 인기입니다. 직역하면 ‘침대에서 썩기’, 즉 하루 종일 침대에 꼼짝하지 않고 누워있는 것을 의미하죠.침대에 누워 영화도 보고, 유튜브도 보고, 친구와 전화로 수다도 떨고, 배고프면 배달음식을 시켜 먹으면서 쉬다가, 그 모습을 사진 찍어 SNS에 공유하는 겁니다. 피로가 일상이 된 사회 속에서, 휴식이 새로운 놀이 문화가 된 거죠.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렇게 침대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은 현대인의 진정한 휴식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주말 내내 집에 콕 박혀서 푹 쉬었다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월요일 출근길이 평소보다 더 피곤하게 느껴진 적 다들 있으실 텐데요.그 이유는 바로... 몸은 쉬었지만 뇌가 쉬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현대인은 육체 노동보다 정신 노동에 더욱 시달립니다. 다가오는 마감 기한, 중요한 일이 달린 의사 결정, 머리를 쥐어짜게 만드는 문제 상황 속에서 우리 뇌는 매일매일 긴장상태로 일하죠. 번 아웃(Burn-out)을 겪지 않으려면, 뇌가 충분한 휴식을 통해 피로를 회복할 수 있어야 합니다.뇌의 피로를 풀어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액티브 레스트(Active rest)’가 필요합니다. 웬만해서는 일을 멈추지 않는 뇌를 쉬게 하기 위해, 일부러 뇌가 좋아하는 활동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편하게 TV를 보며 빈둥거린다고 해서, 뇌까지 편한 것은 아닙니다. 들어오는 무의미한 자극을 처리하느라 더 바쁘죠.특히, 잠을 자지 않으면서 계속 누워 있는 것은 뇌피로에 최악입니다. 지금이 수면 상태인지 각성 상태인지 뇌파가 혼란을 느껴, 나중에는 잠을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죠.정신이 지친 당신을 위한 ‘액티브 레스트’의 방법을 3가지 알려드립니다.첫째, 몸을 움직이세요. 30분 정도 걷거나 자전거를 타면서 신체를 움직여주면 뇌의 혈류량이 증가하고, 뇌신경의 연결을 튼튼하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BDNF)이 분비됩니다. 머리가 안 돌아간다고 느껴질 때 몸을 움직이면 생각이 잘 떠오르는 것은 이 때문입니다.둘째, 아침을 꼭 드세요. 위에 부담없는 간단한 과일, 견과 정도도 충분합니다. 뇌는 포도당으로 움직이는데, 식사 후 12시간이 지나면 체내에는 포도당이 없습니다. 오전 시간을 공복으로 일하면, 연료 없이 달리는 자동차처럼 뇌의 체력은 점점 더 약해지죠.셋째, 나만의 ‘리프레시 행동’을 발견하세요. 번 아웃이 오면, 심적으로 너무 지쳐 모든 활동에 대한 동기가 사라져버립니다. 하지만 그럴 때 억지로 몸을 일으켜 어떤 행동이든 하고 나면, ‘어? 훨씬 기분이 나아지는데?’하는 기분이 들 때가 있습니다. 정신의학에서는 ‘행동 활성화’라고 부르는 효과죠. 바로 그 행동을 기억해두세요. 강아지 산책, 설거지, 책장 정리, 샤워 등 나만의 리프레시 행동을 찾아 적절히 사용하면 지친 뇌에게 활력을 줄 수 있습니다.여러분은 남는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시나요? 피곤하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면서도, 쉬고 싶은 뇌를 끊임없이 부려먹고 있는 건 아니겠죠? 이번 주말, 액티브 레스트(Active rest)로 ‘진짜 피로’를 날려보세요.* 매주 금요일, IGM 시금치를 메일로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작성자 작성일 10-27 조회 2643
  • 250
    [프리즘] 리걸테크 분야와 주요 기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로스쿨의 연구 센터인 ‘CodeX(코드엑스)’는 리걸테크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했다. 기존에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에 따라 검색(Searching), 분석(Analysis), 문서작성(Writing) 이 3가지 카테고리로 구별하다가 분야가 확장되면서 9가지 카테고리로 세세하게 분류하였다. 이를 ‘한국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서는 CodeX의 기존 3가지 카테고리를 대분류로, 변경된 9가지 카테고리를 중분류로 구분하였다. 리걸테크 분야에 접목된 기술은 매우 다양하다. 그 가운데 핵심이 되는 기술 3가지를 살펴보자.  1.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자연어처리란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컴퓨터와 같은 기계를 이용해서 구현하는 인공지능의 주요 분야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인식, 내용 요약, 감정 분석, 텍스트 분류 작업, 챗봇 등과 같은 곳에서 활용된다. 리걸테크 분야에서는 복잡하고 방대한 법률 데이터를 필요한 수준으로 분석, 파악하려면 자연어처리 기술을 통해 1차 가공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리걸테크 분야의 전반에 활용되는 이 기술은 주로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법률 문서의 구문 분석: 문서의 문장, 단어 등의 구조를 파악- 법률 정보 추출: 텍스트에서 중요한 정보나 특정 요소를 추출- 감정 분석: 텍스트의 톤이 긍정인지, 부정인지, 중립인지를 판단- 자동 문서 요약: 긴 법률 문서를 자동으로 요약, 중요한 내용을 추출2. 데이터 마이닝 & 텍스트 마이닝데이터 마이닝과 텍스트 마이닝은 대용량 데이터 세트에서 유용한 정보, 패턴 및 통찰력, 상관관계 등을 추출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두 기술의 차이점은 다루는 데이터 유형이 다르다는 것이다. 데이터 마이닝은 주로 수치화된 정형 데이터를 다루며, 텍스트 마이닝은 텍스트와 같은 비(반)정형 데이터를 다룬다. 텍스트 마이닝 과정을 거쳐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하려면 앞서 소개한 자연어처리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리걸테크 분야에 활용되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데이터 마이닝]- 판례 및 사례 패턴 발견: 대량의 법률 판례와 사례 데이터에서 법률 사례와 관련된 패턴, 규칙 및 트렌드를 발견하여 변호사와 유사한 사례에 대한 리서치를 더 효율적으로 수행- 판결 예측: 리스크를 파악하여 소송이나 판결 결과를 예측하는 모델링을 개발하는 데 사용[텍스트 마이닝]- 문서 분석 및 검색: 리걸테크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텍스트 마이닝 역할 중 하나로, 대량의 법률 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 소셜 미디어 감시: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법률 관련 토론, 의견 및 소식을 모니터링3. 블록체인 블록체인은 데이터 보안, 신뢰성 있는 거래, 스마트 계약, 계약 관리 등과 같은 분야에 활용된다. 특히, 블록체인 기술은 법률 이해관계자 간 계약을 처리 시,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계약을 자동화할 수 있다. 계약을 이행할 때 혹은 계약 위반 사항이 적발될 때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중개자없이 두 당사자간 신뢰할 수 있는 계약 이행을 가능하게 한다.남아 있는 과제와 앞으로의 기대 <2030 축의 전환> 저자인 마우로 기옌은 “이제는 돌이킬 수 없다. 우리가 아는 세상은 변하고 있으며 결코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라고 말했다. 리걸테크는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지만, 이를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 풀어야 할 과제도 여전히 남아 있다.리걸테크를 ‘법률 산업의 혁명’, ‘법률 시장의 신성장 동력’으로 여기며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입장이 있는 반면, ‘법조계 전반의 업무를 잠식할 것'을 우려하는 입장도 있다. 이러한 의견 차이는 각 지역을 대표하는 리걸테크 선도국인 미국과 일본도 이미 경험한 바이다.각 이해관계자간 대립된 의견 차이를 좁히기 위해 여러 차례 각국의 법무부, 법조계 종사자, 리걸테크 기업 등의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협의를 거쳐 접점을 만들어 나갔고, 그 이후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리걸테크 시장은 어떻게 발전해갈지 지켜보자. <References>· Gartner’s 2023 Top Legal and Compliance Technology Predictions”, 2023, Gartner· “LegalTech Market by Solution, End-User, Region (Forecast 2022 to 2032),”, October 2022, Future Market Insights· 정혜련, “리걸테크와 소비자후생-리걸테크 유니콘의 성장배경과 사례를 중심으로”,2022, 소비자법학회· Stanford Center for Legal Informatics, CodeX Project 홈페이지· 민명기, “리걸테크가 뒤바꾼 ‘디지털 재팬, 아날로그 코리아’”, 2023.08.21, 주간조선· 이진원, “리걸테크의 최전선”, 2023.07.23, Forbes Korea· 전지민, “리걸테크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기까지-미국편”, 2022.10.27, 로톡· 이종주, 법률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동향과 이슈, 2018.11.27, 한국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작성자 작성일 10-25 조회 1989
  • 249
    [프리즘] 리걸테크 선도 국가와 대표 기업은?
    각 나라의 법 규제 정도에 따라 리걸테크 발전 수준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규제가 완화된 국가일수록 리걸테크 시장이 성장하고 성숙함을 보인다.기술로 리걸테크를 선도한 미국글로벌 리걸테크 시장에서 북미권의 점유율은 50%에 달하며 이미 성숙기에 진입했다. 미국은 리걸테크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들이 이미 2,000여 개를 넘어섰으며 그 중 기업가치 1조원이 넘는 유니콘 기업은 20개나 된다.미국의 리걸테크 발전은 2006년부터 시행된 ‘e디스커버리(전자증거개시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식 재판에 앞서 당사자 간 이뤄지는 법정 외 증거 공개 절차인 ‘디스커버리’에 전자문서를 뜻하는 ‘e’를 붙인 것이다. 분석해야 하는 증거 대부분이 데이터화, 디지털화되면서 그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고, 증서가 변조될 가능성 또한 커졌다. 제한된 시간 안에 증거를 수집하는 과정을 돕기 위해 인공지능, 디지털 포렌식 등의 기술이 도입되기 시작한 것이 결정적으로 미국에서 리걸테크의 급성장을 이끌었다.전세계의 법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피스컬노트(Fiscalnote)’2013년 설립된 미국의 피스컬노트는 접근하기 어려운 미국 의회와 정부의 데이터를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여 제공하는 세계 최초의 기업이다. 이들의 주요 고객은 CIA, 중앙은행, 국방부와 같은 정부 기관을 포함하여 월스트리트 금융사, 테슬라 등이 있다.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 하나는 법안의 통과 여부를 예측해주는 것이다.이 때, 해당 법을 심사하는 의원의 성향과 과거 투표 이력까지 분석하여 법안 통과 예측율을 94%까지 높였다. 이러한 서비스로 2022년 나스닥에 상장, 기업가치만 무려 1조 3000억 원이 넘는다.창업자인 한국계 미국인, 팀 황은 “인류 역사상 단 한 번도 시도되지 않은 모든 국가의 법률과 규제를 한 번에 찾아볼 수 있는 일을 가능하게 하겠다” 고 말하며, 전세계 리걸테크를 선도하고 있다.리걸테크 시장의 성장 속도가 가파른 일본동아시아에서는 일본의 성장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일본 리걸테크 시장은 세계 4위 규모로, 리걸테크 회사는 총 60여개이며, 이 중 유니콘 기업은 2개다. 일본 전체 변호사의 절반은 리걸테크 플랫폼에 가입해 활동하고 있다. 최근 일본 법무부가 AI 활용 법률서비스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앞으로 일본의 리걸테크 시장은 더욱 속도를 내며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일본 최대 리걸테크 플랫폼, ‘벤고시닷컴’2005년 설립된 일본의 벤고시닷컴은 변호사 소개, 법률 상담 등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창립자인 모토에 다이치로는 학창 시절 냈던 교통사고를 처리하기 위해 고액의 변호사 상담료를 지불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모든 사람들이 법률 서비스를 좀 더 쉽게 이용할 수 있게끔 벤고시닷컴을 창업했다.벤고시닷컴은 ‘모두의 법률 상담’이라는 무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질문을 남기면 변호사의 답변을 받아볼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축적한 100만 건 이상의 법률 상담 데이터와 판례를 AI가 분석하고 GPT가 답하는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에 있다.변호사의 경우, 벤고시닷컴에 등록하면 고객 유치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검색 상위에 표시되고 자신의 대표 해결 사례도 내걸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로 벤고시닷컴은 일본 변호사의 47.3%가 이용 중이며, 2021년 87억엔의 매출을 기록했다.<References>· “Gartner’s 2023 Top Legal and Compliance Technology Predictions”, 2023, Gartner· “LegalTech Market by Solution, End-User, Region (Forecast 2022 to 2032),”, October 2022, Future Market Insights· 정혜련, “리걸테크와 소비자후생-리걸테크 유니콘의 성장배경과 사례를 중심으로”,2022, 소비자법학회· Stanford Center for Legal Informatics, CodeX Project 홈페이지· 민명기, “리걸테크가 뒤바꾼 ‘디지털 재팬, 아날로그 코리아’”, 2023.08.21, 주간조선· 이진원, “리걸테크의 최전선”, 2023.07.23, Forbes Korea· 전지민, “리걸테크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기까지-미국편”, 2022.10.27, 로톡· 이종주, 법률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동향과 이슈, 2018.11.27, 한국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작성자 작성일 10-23 조회 2599
  • 248
    [시금치] 오늘의 쓰레기, 내일의 로또일지라도 버리시겠…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 그는 나에게로 와서 / 꽃이 되었다.”전체는 외우지 못해도 누구나 한 구절은 알고 있는 김춘수의 시 ‘꽃’입니다. 꽃을 소재로 삼아 그저 있는 존재가 ‘의미 있는 존재’로 거듭나는 과정을 나타낸 작품이죠. 시 구절처럼 의미 없이 당연하게 버려지던 폐기물을 ‘새로운 가치’로 만들어낸 기업들이 있습니다.‘사용되지 않으면 모든 것은 쓰레기다(Everything is waste if not used)’라는 신념을 가진 나이키는 제조 과정에서 나온 쪼가리(Scrap), 버려지는 자재, 수명을 다한 신발 등을 새로운 제품으로 탈바꿈하는 ‘나이키 그라인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이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어진 재활용·재생 소재는 경기장 트랙, 농구장 코트, 인조잔디 필드부터 의류, 신발, 휴대폰 케이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곳에 사용되는데요. 지난 5월 문을 연 ‘모두의 운동장(서울 금천구 소재)’의 물품 보관함과 운동장 바닥에도 그라인드 프로그램으로 재탄생한 소재가 활용되었다고 합니다.재활용·재생 소재로 만들어진 제품들 (ⓒ나이키)지난 해, 삿포로는 맥주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폐기물로 만든 ‘청바지’를 선보였습니다. 맥즙을 짜내고 남은 맥아 사료나 맥주에 사용되지 않는 홉 줄기와 잎을 가공해 데님 원단을 만든 것인데요. 30벌 한정으로 41,800엔(약 38만원)에 판매된 이 청바지는 1,600건의 주문이 들어올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삿포로는 소비자들의 반응이 기대 이상으로 좋아 다른 디자인의 청바지를 추가로 출시했고요. 화제성에 힘입어 자사 사이트 회원 수가 10만명이나 늘어나는 효과도 보았다고 합니다.맥주 회사 삿포로가 출시한 청바지 (ⓒ삿포로)국내 철강기업 대한제강은 철근 제조 공정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활용해 토마토, 파프리카, 딸기, 망고 등 각종 과일과 채소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공장 한가운데 약 1,000평 규모의 유리온실 스마트팜을 짓고, 제강 공장과 농장을 대형 파이프로 연결했는데요. 대한제강에 따르면 폐열을 활용해 스마트팜을 냉난방함으로써 월 평균 1,000만원의 운영비를 절감한다고 합니다.대한제강 공장 내에 위치한 유리온실 스마트팜 (ⓒ대한제강)나이키, 삿포로, 대한제강의 사례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업사이클(Upcycle) 트렌드와 맞닿아 있습니다. 업사이클이란 업그레이드(Upgrade)와 리사이클(Recycle)의 합성어로,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환경보호와 수익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업사이클 기업들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MZ세대에게 인기가 많은 업사이클 가방 브랜드 ‘프라이탁’이 대표적이죠.우리 회사에서 무엇이 버려지고 있는지 생각해봅시다. 무심코 버린다면 그저 쓰레기에 불과하지만, 다른 시각으로 바라본다면 우리에게 필요한 새로움이 될지도 모르니까요! * 매주 금요일, IGM 시금치를 메일로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작성자 작성일 10-20 조회 1820
  • 247
    [프리즘] 법조계에 불어온 테크 바람, '리걸테크(Le…
    2023년 초 등장한 생성형 AI는 산업 전반에 지각변동을 일으키며 시장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AI로 인해 특히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산업으로 '법무'를 꼽았다. 매우 보수적이고 장벽이 높은 법률 산업에도 기술로 인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법과 기술을 접목하여 법률 산업의 가치를 높이는 '리걸테크'가 주목받고 있다.리걸테크는 법률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의 일의 미래를 어떻게 그려 나가고 있는지, 법률 서비스가 필요한 잠재 수요자에게는 어떤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게 될지 생각해보자.법조계에 불어온 테크 바람살면서 해결하기 어려운 일에 휘말리게 될 때, ‘아는 변호사 한 명쯤 있으면 좋겠다’ 생각한 적 있지 않은가. 이제 언제 어디서든 손 쉽게 ‘AI 변호사’를 통해 법률 서비스를 자문 받을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바로 ‘리걸테크(LegalTech)’를 통해서 말이다. 리걸테크는 '법(Legal)'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법률 서비스를 의미한다. 인터넷과 모바일의 발전이 시작되었던 2000년대 후반 즈음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초기에는 법조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단순한 사무 보조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최근에는 판례 분석, 법률 문서 작성, 심지어 판결 결과를 예측해 소송 전략을 수립하는 수준의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리걸테크 시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법률 리더들을 대상으로 한 가트너(Gartner) 조사에 따르면, 로펌 및 기업 법무팀은 2025년까지 리걸테크에 투자하는 금액을 약 3배 이상 늘릴 것이며, 법률 리더의 40% 이상은 조직 내부의 법률 업무 자동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또한, 글로벌 리걸테크 투자 전문 벤처 펀드는 매년 약 13%가량 큰 폭으로 증가, 2022년 리걸테크 분야 투자금은 총 34억 3,000만 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시장 규모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 퓨처마켓인사이트(Future Market Insights)는 연평균 8.9%의 성장률로, 2022년 약 298억 달러, 2032년에는 69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리걸테크가 몰고 온 변화리걸테크의 발전으로 법조계의 업무 효율과 생산성이 극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영국 로테크 UK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법조계 종사자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업무를 처리할 때, 연간 최대 17억 파운드까지 생산성이 향상될 것으로 추정된다.AI 변호사를 최초로 탄생시킨 미국의 리걸테크 기업 로스 Ross는 초당 10억 장의 판례를 검토해 연관된 판례를 제시하며, 책 100만권 분량의 법률 데이터 조회가 가능하다고 한다. 덕분에 인간은 변론 작성이나 사건 재구성 등 창조적인 업무를 더욱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법률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리걸테크는 법률 서비스의 장벽을 낮춰 보다 편리하게, 더 합리적인 비용으로 서비스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References>· “Gartner’s 2023 Top Legal and Compliance Technology Predictions”, 2023, Gartner· “LegalTech Market by Solution, End-User, Region (Forecast 2022 to 2032),”, October 2022, Future Market Insights· 정혜련, “리걸테크와 소비자후생-리걸테크 유니콘의 성장배경과 사례를 중심으로”,2022, 소비자법학회· Stanford Center for Legal Informatics, CodeX Project 홈페이지· 민명기, “리걸테크가 뒤바꾼 ‘디지털 재팬, 아날로그 코리아’”, 2023.08.21, 주간조선· 이진원, “리걸테크의 최전선”, 2023.07.23, Forbes Korea· 전지민, “리걸테크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기까지-미국편”, 2022.10.27, 로톡· 이종주, 법률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동향과 이슈, 2018.11.27, 한국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작성자 작성일 10-18 조회 2051
전체 417건 19 페이지
게시물 검색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8길 11-16 사업자등록번호 : 101-86-24196 대표자 : 조승용 전화 : 02-2036-8300 팩스 : 02-2036-8399 Copyright©주식회사 IGM 세계경영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QUICK MENU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