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기준 우리나라는 합계출산율 0.78명으로 초저출생 현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인구 쇼크가 눈앞의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저출생과 고령화에 따른 성장 둔화, 시장 축소 등 부정적인 요인이 대두되는 가운데, 새로운 기회의 시장이 열리고 있다.저성장의 시대에도 성장세를 보이는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 영포티·영피프티(Young Forty·Young Fifty) 시장과 엔젤 산업(Angel industry)이 바로 그것이다. 이번 글…
물류 영역물류 로봇은 전문서비스 로봇 분야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물류 로봇 기술이 점점 고도화되면서 상품 피킹(Picking)부터 보관, 적재, 검수 및 포장, 배송, 재고관리까지 사람을 대신할 수 있는 영역이 확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소비 패턴과 취급 상품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주문 물량이 급증하면서 물류 작업이 복잡해지는 상황도 로봇을 통한 자동화를 앞당기고 있다.대표적으로, AI로 상품을 인식해 정확히 집어 나르는 ‘AI 피킹 로봇’, 고정된 경로에서 자동으로 제품을 운반하는 ‘무인운송차량(Automated…
산업계 전반에서 기업들은 로보틱스 및 자동화에 막대한 투자를 하면서, 로봇 활용 영역은 기존 제조업에서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Mckinsey) 조사에 따르면, 물류 및 풀필먼트 산업에서 자동화에 투자하는 비용은 2027년까지 전체 비용의 3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설문조사 대상 산업 중 가장 높은 비율이다. 또한 자동화에 가장 큰 지출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소매 및 소비재 산업(23%)이고, 식음료 산업(15%), 의료 산업(15%), 물류 및 풀필먼트 산업(12%…
제 11회 IGM HRD 세미나 읽기 (2023.6.30)[주제]“멀티-제너레이션의 직원경험과 조직성과를 높이는 최고의 수단, '교육'은 어때야 하는가?” HRD 세미나에200여 분이 실시간 함께 해 주신 것을 보면, ‘멀티 제너레이션’, ‘직원경험’, 그리고 역시 ‘교육’에 정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계신 것 같은데요. 핵심만 정리해 볼게요. ‘직원경험’이란 직원들이 처음 채용 정보를 검색한 순간부터 회사를 떠나는 순간까지 회사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을 뜻합니다.예를 들어, 첫 출근과 같은 특정한 순간, 리더-구성원 관계 …
2023년1분기,기술 분야에서 딱 하나의 키워드를 꼽자면 단언컨대‘챗GPT(ChatGPT)’라고 할 수 있다.지난 해11월30일,오픈AI(OpenAI: ‘인류에 도움이 되는 인공지능 개발’이라는 목적으로2015년 설립된 회사)가 공개한 챗GPT는 단5일만에 사용자수100만명을 돌파했고, 2개월만에 월 활성사용자1억명,현재는2억명을 넘어섰다.기술 업계 전체를 뒤흔들며 연일 화제의 중심이 된 챗GPT는 생성형AI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촉발했다.그리고 몇 개월이 채 지나기도 전인 지난3월14일,오픈AI는 챗GPT보다 더 똑똑한GPT-4를…
코로나19 팬데믹은 유통업계를 송두리째 흔들었다. 비대면 소비 경향에 따라 이커머스(E-Commerce) 시장이 급성장했고, 매출 하락의 직격탄을 맞은 오프라인 기반 유통업체들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본격적으로 이커머스 시장에 가세해 치열한 각축전을 벌여오고 있다.그리고 최근, 엔데믹 전환을 앞두고 온라인 거래가 자연스레 감소하면서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Amazon)은 성장성 둔화로 2022년 1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한편, 오프라인 기반의 유통업체들은 리오프닝(Reopening, 경제활동 재개)을 통한 수…
‘플라스틱 OTHER’ 표시가 있는 ‘햇반’ 용기… 깨끗이 씻어 버려도 재활용이 안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어요? (상세기사 보기)분리배출 돼도 막상 갈 곳이 없기 때문이라는 데요.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가 늘어나면서 쏟아지는 쓰레기를 보면, 재활용에 더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그린피스에 따르면 플라스틱은 겨우 20%만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매립 또는 소각된다고 해요.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재활용 제품을 만들기 위해 일본과 유럽에 매년 1조원을 주며 플라스틱 쓰레기를 사들이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왜, 우리나라 쓰레기를…
Family Site